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zine

[칼럼] 박지성, '제 2의 긱스'로 맨유에 남을 것인가. 유럽 시즌도 어느덧 3개월 째에 접어들었다. 시즌 초반 혼잡한 순위 테이블도 여전하고, 구설수에 오르는 선수들의 패턴 역시 여느때와 비슷하다. 그런데 한 선수에게서 지금까지와는 조금 다른 모습이 눈에 들어온다. 바로 맨유의 심장이자 우리들의 영원한 캡틴, 박지성에게서 말이다. 2011-12 시즌 박지성은 현재까지 총 6경기에 출전했다. 4승 2무, 출전한 모든 경기에서 무패를 기록하고 있으며 평균 평점도 6.5로 준수한 성적이다. 1골 3도움이라는 개인기록도 매우 좋다. 수많은 언론에서 줄어든 박지성의 출전시간과 나니, 영의 활약을 두고 그의 위기설을 뿌려댔지만 보란듯이 시즌 초반을 박지성답게 헤쳐나가는 모습이다. 그런데 박지성의 출전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꽤 흥미로운 점을 발견할 수가 있다. 지금까지.. 더보기
[칼럼] 위기의 아스널, 개막전부터 위험하다?! 6년 째 무관인 아스널의 2011-12 시즌 전망도 현재로써는 그리 밝지 않아 보인다. 주장인 세스크 파브레가스는 오래전부터 이적설로 흔들리고 있으며 시즌 개막을 얼마 앞둔 팀은 주축 선수들의 줄부상으로 부상병동이 되가고 있다. 아스널은 지난 7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팀 선수들의 부상 소식을 전했다. 얼마전 열린 에우제비오컵에서 상대한 벤피카 전에서 많은 선수들이 크고 작은 부상을 입었다. 심지어 팀은 1-2 패배를 당하기도 했다. 벤피카 전에서 부상을 당한 선수들은 키에런 깁스, 베르마알렌 그리고 로빈 반 페르시다. 특히 수비의 베르마엘렌과 반 페르시의 부상이 가장 뼈아프다. 베르마엘렌은 코시엘리와 함께 벵거 감독의 다음 시즌 주전 중앙수비수 조합 계획의 1순위 선수였다. 또한 반 페르시는 시즌 절반.. 더보기
극동 축구의 가능성 - 한국의 축구를 하자 이번 월드컵의 토너먼트에서 우리나라는 아쉽게도 16강 초반에 떨어졌다. 일본이 남아 있지만 16강의 벽을 넘기에는 조금 부족한 면이 없잖다. 그러나 일본이 카메룬 전과 같은 경기력을 보여준다면 그들이 염원하는 4강이 불가능만은 아니다. 우리나라는 84년 멕시코 월드컵 본선부터 2010년 남아공 월드컵까지 7회 연속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세번의 월드컵에서 각각 4강, 1승 1무 1패 17위 조별예선 탈락, 그리고 이번에는 16강의 성적을 거뒀다. 한일월드컵 4강의 성적을 폄하하는 이들이 있더라도 2006년, 그리고 이번 월드컵의 성적으로 충분히 상쇄할 수 있으며 이번에 보여준 경기 내용으로 봐서도 확실히 만회할만 했다. 특히, 우리나라가 일본과 함께 동반 16강에 진출함에 따라 아시아.. 더보기
박지성 왼발의 역사, 그리고 반성(?) 6월 12일 저녁 8시 우리나라와 그리스의 남아공 월드컵 예선 1차전 경기. 역시 100만 조기축구인 중 한명으로서 축구부원 몇 명과 남성역의 작은 주막에서 응원차 모여 경기를 봤다. 주변에 동네 주민도 몇 팀 모여 ‘대~한민국’을 남발해 주시면서…. 의외로 전반전에 골이 일찍 나왔고 덕분에 응원도 점점 격해지는 것이, 조기축구할 때보다 응원하는게 더 다리가 풀렸다. 거기다 아쉬운 장면만 나오면 술도 계속 들어가면서…. 후반전 초반. 박지성이 느닷없이 나타나 수비수 둘을 제치고, 골키퍼까지 속이는 가벼운 왼발슛!! 우리나라 축구에서 저렇게 골 넣는 경우도 있구나 싶었다. 골 넣고 풍차돌리기 세리머니를 하는데 주막에 있던 사람들 모두 풍차돌리기를 따라해 주시고…. 술은 또 계속 들어가 주시고…. 다음날 정.. 더보기
아르헨티나 우승 후보? 한국, 그리스의 가능성 남아공월드컵을 몇 일 앞두고 이래저래 16강 진출국 맞추기가 한창이다. 축구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생각해 볼 문제이니, 100만 조기축구인 중 한명으로서 16강 예측에 대해 몇 마디 거들겠다. 우선 아르헨티나는 너무 과대 평가돼 있지 않나 한다. 물론 메시를 중심으로 테베스, 이과인, 밀리토 등 세계적으로 이름값하는 공격수가 넘친다. 본인의 판단에는 거기에 문제가 있다. 단기 토너먼트 대회에서는 수비가 안정된 팀이 좋은 성적을 낸다는 것이 거의 정설로 굳혀졌다. 최근 역대 토너먼트 대회 결과를 봐도 그렇다. 수비적 경기가 된다면 재미는 없을 지언정 잘 지지 않는다. 이름값 만으로는 수비를 논할 수 없다. 팀의 단결과 선수들의 헌신 없이는 좋은 수비력을 선보일 수 없다. 마라도나 감독이 전설적인 공격.. 더보기